지난 2009년 국내 장편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 위해 제정된 자음과모음 문학상의 첫번째 수상작인 안보윤의 <오즈의 닥터> 개정판.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무화하는 치밀하게 의도된 문장과 흥미로운 사건 전개, 흥미 있는 캐릭터의 등장을 통해 어떤 것이 사실이며 허구인지, 또 기억은 실재하는 것인지 꾸며낸 것인지 등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현실과 허구, 실재와 환각이 서로를 배반하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서사를 만들어가는 작가의 세련되고 현란한 구성 능력을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이 평가받았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고 변형시키면서 그것을 다시 재배열하는 작가의 능력은 이 소설에 생명을 불어넣는 가장 큰 힘이다.
주인공 ‘나’는 가상의 정신과 의사인 ‘닥터 팽’을 만나 상담과 진술을 한다. ‘닥터 팽’은 ‘나’의 카운슬러이다. 그러나 갈수록 ‘닥터 팽’의 외모뿐만 아니라 주인공의 진술은 변형되고 번복된다. 뜻하지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나’의 앞에 불쑥불쑥 나타나는 ‘닥터 팽’은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나’의 심리적 분신 또는 허상임이 분명해진다.
‘닥터 팽’에게 상담을 하면서 내뱉는 ‘나’의 진술은 진짜 같은 허구이다. ‘나’가 구체적으로 회상했던 어머니, 누나, 동생은 실제로 존재한 적이 없었고 ‘나’의 기억에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 허구의 진술은 소설 속에서 끝없이 변형되고 번복됨으로써 주인공은 끝내 몰락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든 진실 역시 몰락하고 만다.
안보윤
1981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명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 장편소설 『악어떼가 나왔다』로 제10회 문학동네작가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장편소설 『오즈의 닥터』로 제1회 자음과모음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집 『비교적 안녕한 당신의 하루』 『소년7의 고백』, 장편소설 『사소한 문제들』 『우선멈춤』 『모르는 척』 『알마의 숲』 등을 냈다.
닥터 팽
수연#1
화상입니까, 닥터
목뼈입니다
우연입니까, 닥터
환각입니다
수연#2
고양이입니까, 닥터
현실입니다
수연#3
고백입니까, 닥터
수연#4
허상입니다
수연#5
다시, 닥터 팽
작가의 말
수상작가 인터뷰
닥터 팽의 위조기억말살기!
“당신의 기억은 안전합니까?”
제1회 자음과모음 문학상 수상작
오즈의 닥터
작가는 대단히 정밀한 문장으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면서 ‘나’의 범죄가 현실 층위에서 성립될 수 없는 알리바이를 빚어내고 있다. 현실이 더 이상 객관적 실재일 수 없는 시대에 걸맞은 소설 미학을 완벽하게 구사하고 있다.
– 황광수(문학평론가)
■■■ 제1회 자음과모음 문학상 수상작 『오즈의 닥터』 개정판 출간
지난 2009년 국내 장편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 위해 제정된 자음과모음 문학상의 첫번째 수상작인 안보윤의 『오즈의 닥터』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오즈의 닥터』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무화하는 치밀하게 의도된 문장과 흥미로운 사건 전개, 흥미 있는 캐릭터의 등장을 통해 어떤 것이 사실이며 허구인지, 또 기억은 실재하는 것인지 꾸며낸 것인지 등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으로, 현실과 허구, 실재와 환각이 서로를 배반하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서사를 만들어가는 작가의 세련되고 현란한 구성 능력을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이 평가받았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고 변형시키면서 그것을 다시 재배열하는 작가의 능력은 이 소설에 생명을 불어넣는 가장 큰 힘이다.
■■■ “당신의 기억은 안전합니까?”
― 진짜야, 가짜야? 환각의 힘으로 진실 무너뜨리기!
『오즈의 닥터』는 안보윤 작가의 두번째 장편소설로 환상과 실재의 경계를 주제화하면서 현란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 ‘나’는 가상의 정신과 의사인 ‘닥터 팽’을 만나 상담과 진술을 한다. ‘닥터 팽’은 ‘나’의 카운슬러이다. 그러나 갈수록 ‘닥터 팽’의 외모뿐만 아니라 주인공의 진술은 변형되고 번복된다. 뜻하지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나’의 앞에 불쑥불쑥 나타나는 ‘닥터 팽’은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나’의 심리적 분신 또는 허상임이 분명해진다. ‘닥터 팽’에게 상담을 하면서 내뱉는 ‘나’의 진술은 진짜 같은 허구이다. ‘나’가 구체적으로 회상했던 어머니, 누나, 동생은 실제로 존재한 적이 없었고 ‘나’의 기억에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 허구의 진술은 소설 속에서 끝없이 변형되고 번복됨으로써 주인공은 끝내 몰락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든 진실 역시 몰락하고 만다.
이런 환상과 환각들은 우리에게 기억에 대한 고민을 하게 만든다. “자네가 믿고 싶어 하는 부분까지가 망상이고 나머지는 전부 현실이지. 자네가 버리고 싶어 하는 부분, 그게 바로 진실일세.” 이 구절은 누구나의 무의식 속에 자리하고 있는 좋은 것만 기억하는 인간의 습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위조된 기억, 날조된 기억을 안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드러내면서 우리의 기억은 과연 안전할까 하는 의문이 들게 만든다.
■■■ 파렴치한 이야기꾼의 뻔뻔스러운 이야기
『오즈의 닥터』는 현실과 허구, 실재와 환각이 서로를 배반하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서사를 만들어가는 독특한 구성의 소설이다. 작가는 이상의 ‘거울 속 나’나 황병승의 ‘주치의 h’처럼 자신의 병리성을 진단하면서도 그러한 병리적 구조 속에 스스로를 밀어 넣음으로써 의사―환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분열증적 주인공을 등장시켜, 앞뒤도, 전후도 맞지 않는, 한도 끝도 없는 거짓말을 풀어놓는다. 소설의 초반부에 펼쳐진 이 황당한 거짓말은, 언뜻 소설 후반부의 진짜 이야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듯 보인다. 그러나 작가는 익숙한 인과적서사를 배반하는 과정, 즉 이 거짓말이 저 거짓말로 대체되고, 다시 사실이 양념처럼 더해지는 허구의 직조 과정 그 자체를 하나의 서사로 완성해간다.
■■■ 수상작 심사평
『오즈의 닥터』는 환상과 실제, 허구와 진짜의 경계를 광인의 눈에서 바라본 수작이었다. 본격적인 허구와 진짜의 문제를 다룬 소설의 출현이 새롭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비록 진부한 소재지만 이 진부한 소재조차 새롭게 전개해나가는 방식이 매우 눈부시다. 허구의 과정을 첨예하게 전개시킴으로 해서 허구가 재배열되고, 다시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이 아주 놀랍다.
– 박성원(소설가)
『오즈의 닥터』의 미덕은 철저하게 언어의 힘만으로 가령 어떤 기억이나 현상을 구축했다가 정말 그것이 실제인지 진실인지 알아볼 수 없도록 감쪽같이 허물어뜨려버린 다음, 다시금 그것이 정말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의구심이 들도록 재구축하는 작가만의 솜씨였다. 쉽게 현실과 환상은 뒤섞인다는 전언만을 그럴듯하게 내세우는 소설이 아니라는 뜻이다. 허구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은 보통 곧잘 언어와 실제 등에 대한 사변적인 탐구로 이어지기 쉬울 법한데, 작가는 그 방향으로 가지 않고 흥미진진한 사건들을 앞뒤로 배치하고 가공의 인물들과 사건을 만나고 부딪치게 하면서 실제/허구의 경계 허물기가 정말 그럴듯한 것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복도훈(문학평론가)
『오즈의 닥터』는 엄밀히 말하자면 주제성이 그리 강한 것은 아니다. 소설 속의 환각이 약물에 의존하고 있기에 그 심리적, 사회적 탐구의 여지가 없어지고 말았다. 그럼에도 ‘나’의 기억들이 하나씩 하나씩 환각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읽는 사람을 미궁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이야기 구성의 솜씨는 현란하면서도 세련된 것이었다.
– 손정수(문학평론가)
『오즈의 닥터』는 허구와 가설의 구축 과정 그 자체를 밀도 있는 이야기로 만드는 새로운 작법이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허구와 실체의 경계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허구가 더 강한 현실적 구속력을 가질 수도 있다는 주제 의식은 익숙하지만, 교사와 살인자, 납치범과 약물중독자 등을 한 몸에 구현하는 흔치 않은 인물화 방식이라든지, 현실적 기반을 전혀 갖지 않으면서도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닥터 팽’ 같은 인물의 창조는 소설을 친숙하면서도 결코 상투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밀고 나간다.
– 심진경(문학평론가)
『오즈의 닥터』는 자신감 넘치는 스토리 전개와 개성 있는 문체, 독특한 감수성 등이 조화를 이룬 수작이었다. 『오즈의 닥터』는 한 가지 테마를 향해 초점을 모으는 구성력, 쉽게 작품을 끊어 읽을 수 없게 만드는 흡인력 측면에서 돋보였다. 오랫동안 한눈팔지 않고 성실하게 많은 작품을 써온 듯한, 젊은 작가의 진지한 내면도 함께 읽혔다.
– 정여울(문학평론가)
작가는 대단히 정밀한 문장으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면서 ‘나’의 범죄가 현실 층위에서 성립될 수 없는 알리바이를 빚어내고 있다. 현실이 더 이상 객관적 실재일 수 없는 시대에 걸맞은 소설 미학을 완벽하게 구사하고 있다.
– 황광수(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