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원 이광수의 자기 폭로적 중/단편 모음집. 이광수 작품의 초기부터 후기까지를 아울러서 그의 인간적인 측면이나 심정을 알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젊은꿈>의 도입부를 제외한 채택된 판본의 텍스트를 그대로 옮겼다. 또한 각 작품의 해설이나 해제를 따로 쓰고, 일부 작품에 대해서는 비교 판본 텍스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꼼꼼하게 제시했다.
이광수
이광수호는 춘원, 평안북도 정주 출생. 1902년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후 동학에 들어가 서기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의 추천으로 도일, 메이지 학원에 편입하여 공부하면서 소년회를 조직,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도 했다. 1910년 메이지 학원을 졸업하고 일시 귀국,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재차 도일, 와세다 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였다. 1917년 1월 1일부터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하면서 1919년에는 도쿄 유학생의 2.8독립선언서를 기초한 후 상아이로 망명, 임시정부에 참가하여 독립신문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21년 4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으며, 1923년에는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 <마의 태자> <단종애사> <흙> 등 많은 작품을 썼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 때부터 본격적인 친일행각을 벌여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 회장이 되었으며, 가야마미쓰로로 창씨개명하였다. 8.15광복 후 반민법으로 구속되었다가 병보석으로 출감하였으나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의 작품으로 <윤광호> 등 단편, <이차돈의 사> <사랑> <원효대사> <유정> 등의 장편, 그리고 수많은 논문과 시편이 있다.
책을 엮으며
1. 나
2. 꿈 (중편)
3. 젊은꿈
4. 무명
5. 꿈 (단편)
6. 어린 영혼
7. 모르는 여인
8. 떡덩이 영감
9. 영당 할머니
10. 가실
11. 어린 희생
12. 愛?
작품해설 및 작가연보
근대문학과 이광수, 그의 작품에 남아 있는 것
근대문학의 의미와 그 텍스트의 중요성을 함께 생각할 때 이광수만한 작가가 또 있을까? 이광수는 누가 뭐래도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였으며, ‘한국문학사의 아버지’였다.
그가 1917년 <매일신보>에 연재한 《무정》은 그의 처녀 장편소설이면서, 한국근대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게다가 다른 한국 작가들에 비해 그만큼 활동을 오래 지속하면서 그렇게 많은 작품을 발표한 작가는 거의 없다. 이광수가 문학을 하던 당시 그는 많은 독자를 확보한 작가였으며, 지금껏 가장 많이 읽히는 작가이다. 문학사적인 비중을 보아도 그는 상당히 많이 거론되는 작가에 속한다. 그의 작품을 다룬 논문이 이미 300편이 넘는다.
하지만 이광수의 문학사상의 선구적인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문학적 업적이나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꺼리는 경향이 있다. 만약 그의 작품의 수준을 문제 삼는다면 같은 기준을 가지고 당시의 다른 작가들을 논할 때 과연 몇 작품이 남을 수 있는가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인데도 말이다.
문학을 즐기는 독자라면 책을 함부로 속단하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말하자면 작가에 대한 평가가 단지 개인적인 인생 경력으로 인해 초래된 결과였다면, 일반적인 관점에서가 아니라, 조금 다른 각도에서 그의 문학을 볼 수 있는 여지를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이번에 출간된 ‘이룸 근대문학 텍스트’ 첫 작품인 《이광수 작품선》은 그런 여지를 제공한다.
춘원 이광수의 자기 고백-심정의 편린
이 책을 엮고 해설을 붙인 사에구사 도시카쓰 교수는 이 책의 의도에 대해 몇 번이나 다시 밝힌다.
여기에 모은 글들은 춘원 이광수가 쓴 방대한 글 가운데 일부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광수 작품의 초기부터 후기까지를 아울러서 그의 인간적인 측면이나 심정을 알 수 있게 했다.
– 본문, ‘책을 엮으며’
이번에 춘원 이광수의 중 · 단편을 골라서 모은 의도는 문학에 종사한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유익한 사업에 이바지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문학의 제도 속에 있으면서도 거기서 벗어나는 요소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을 찾아내려는 데에 있다. 이광수 문학의 특색 중의 하나는 작품 속에 사회적 지도자 의식과 동시에 저자 자신의 개인적 문제가 언제나 얼기설기 얽혀 있다는 것에 있지 않을까. 그의 개인적인 문제는 그의 위기의식과 연결되어 있다.
– 본문, ‘작품해설’
어떤 선입견이-현대 독자들을 접근하지 못하게 만드는 위선이나 오만함, 민족적 자존심을 훼손하는 발언-이광수 문학에 대한 걸림돌이 된 것은 사실이다. 이 책은 사에구사 교수가 여러 번 밝히듯이 이광수 개인사와 연결지어 작가 내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들을 싣고 있다. 이것은 ‘이광수의 글을 새로운 각도에서 읽으려는’ 의도이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이룸에서 나온 《이광수 작품선》은 이광수의 작품 중 목적소설로 분류되는 《무정》, 《흙》 등과 비교하여 그것을 배제한 비목적소설이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