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끝이 없는… 너무나 커서 끝을 알 수 없는… 세상의 이치… 그 알 수 없는 세상의 이치가 움직임과 고요함의 조화로… 오행을 있게 하고…오행이 오묘하게 결합되어 만물을 만든다. 이러한 음양오행이 교차하는 가운데 가장 우수하고 올바른 것이 정교하게 결합하여 생겨 난 것이 바로…그것은 무엇일까요?
이명수
국제퇴계학회 사무국장, 성균관대 겸임교수, 동덕여대, 중앙대 강사, 퇴계학연구원 연구원, 전통문화연구회 강사와 교무위원, 전북대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일찍이 민족문화추진회 연수부를 졸업, 동양고전의 기초적 공부를 시작하였고 성균관대, 그리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 퇴계학연구원에서 중국 및 한국철학을 다년간 연구하였다.
현재 성균관대에서 동양철학 고전 및 철학 강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아시아 투데이 논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프롤로그
제1장 끝없이 무한한 우주
1. 남산에 해가 돋다
2. 그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였구나!
3. 잠자러 가는 해
철학돋보기
제2장 음양과 오행이 우주를 이루다
1. 음양의 조화, 어머니와 아버지
2. 하늘의 도리와 땅의 도리
3. 우리 삶도 순환이에요
철학돋보기
제3장 사람은 만물의 영장
1. 물놀이가 아니었잖아?
2. 우주의 원소는 어머니?
3. 자연을 닮는 것이 최선
철학돋보기
제4장 우주엔 태극, 사람엔 인극
1. 거꾸로 사는 뚱뚱보 금성이
2. 성인은 다름 아닌 자연을 닮은 자
3. 우표의 진실
4. 하늘이 무너져도 사과를 심자
철학돋보기
외전
부록_통합형 논술 활용노트
주돈이는 성리학의 효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가 주장한 ‘태극’은 동아시아 철학을 공부할 때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개념입니다. 어려운 인상을 주는 동양 철학자를 다루면서도 단계별로 차근차근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친구와 물건을 교환하는 이야기를 통해 쉽게 공감을 끌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친구끼리 서로 좋아하는 우표와 필통을 맞바꿈으로써 생긴 에피소드를 주된 이야기 축으로 삼고 있어 단순한 인상을 주지만, 오히려 주돈이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는 효과적입니다. 읽고 난 후에 책 전체의 핵심내용이 또렷하게 기억에 남습니다.
김덕균 (성산효대학원대학 교수)
아버지의 귀한 우표를 친구에게 줘 버린 걸 들키지 않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주인공의 심리를 통해 이야기 내내 푹 빠질 수 있습니다. 친구에게 준 우표가 가짜였음이 밝혀지는 반전 장면에서는 극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수철이와 아버지가 티격태격 밀고 당기는 분위기의 재미있는 대화 장면에서 주돈이의 사상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처음엔 아버지가 일러주는 철학 사상에 별 관심이 없던 수철이도 수해지역 봉사활동을 겪으며 주돈이의 사상에 동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그리하여 주돈이의 사상을 정확히 알고 보다 생각이 성숙하게 변화해 가는 과정을 통해, 책을 읽는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주돈이의 윤리관을 익히고 한층 성숙해질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안영희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 식물응용과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