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튀는 발랄함과 밝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청소년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작가 김혜정의 소설 『잘 먹고 있나요』. 엄마를 잃고 슬픈 환경에 처한 청춘 남매의 이야기를 결코 무겁지 않게 느끼면서도 자연스럽게 감동과 응원의 세계에 빠져들도록 써내려간 작품이다.출간되기 한달 전부터 EBS 라디오 연재소설에서 배우 강은진에 의해 낭독되어 청소년부터 부모 세대에 이르기까지 청취자의 깊은 공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는 평을 받았다.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부모나 세상에 의해 강요된 꿈이 아니라 엄마를 잃고서야 비로소 자신의 꿈을 찾아가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김혜정
1983년 충북 증평에서 태어났다. 이야기 만드는 걸 좋아해 열다섯 살에 첫 장편을 완성했다. 지금은 1년에 백 번도 넘는 강연을 하고, 어지간한 드라마는 다 섭렵하며, SNS로 독자들과 소통하고, 아기를 키우고, 소년소녀들을 위해 진짜 웃기는 이야기를 쓰고 싶은 열망을 불태우며 동화와 청소년소설, 에세이를 쓰고 있다. 고민 많고 혼란스러운 청소년 시절을 보냈기에, 청소년들에 대한 애정이 아주 크다. 그래서 ‘십 대를 위한’ 글을 쓰고 있다. 작품 속 주인공이 모두 십 대이고, 앞으로도 그럴 거다. 이제까지 청소년 소설 『괜찮아, 방학이야!』 『다이어트 학교』 『하이킹 걸즈』 『닌자 걸스』 『판타스틱 걸』 『텐텐 영화단』 『잘 먹고 있나요?』 『오늘의 민수』 등과 동화 『우리들의 에그타르트』 『맞아 언니 상담소』 『헌터걸』, 청소년 에세이 『시시한 어른이 되지 않는 법』 등을 썼다.
봄, 식당 문을 열다
여름, 한 걸음, 한 걸음
가을, 내일의 기대들
겨울, 따듯한 집 밥
해설 꿈 없는 삶에서 꿈 찾기
작가의 말
본문발췌
“우선 걱정부터 하지 말고, 뭐든 끝까지 해봐.
3.14에서 자를지 3.145에서 자를지는 금방 결정할 수 있는 게 아니야.”
고아가 된 후 거침없이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는 자유가 허락된 재연과 재규
엄마의 빛과 그늘에서 나와 조심스럽게 자기 인생의 첫발을 내딛는다!
혼자서 식당을 운영하며 남매를 키웠던 엄마가 갑자기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 누나는 엄마가 운영하던 식당을 맡기로 결심한다. 새로운 메뉴 개발과 홍보를 하며 비즈니스 세계에 뛰어들지만 녹록하지 않다. 사기도 당하고, 어려움을 겪을수록 엄마가 그립다. 내년이면 고3인 재규는 미술을 공부하지만 자신에게 정말 재능이 있는지 고민한다. 미대에 갈 수 있을지, 간다 하더라도 먹고 살 수 있을지 걱정이다. 누나는 엄마도 없는 이 마당에 억지로 미술을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부모와 갈등하는 청소년소설의 주인공들이 부모라는 굴레에 갇혀 정작 자기 자신과 본격적으로 대면하지 못하는 데 반해 이 작품은 부모와의 물리적 거리를 통해 자신의 삶 전체를 직면하도록 한다. 재규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꿋꿋이 발레리나의 길을 가고 있는 친구 준모와 대학을 포기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식당 운영에 뛰어든 누나 재연, 남들이 부러워하는 명문대 학생이지만 자신이 원하는 삶을 찾지 못한 채 그저 고등학교 수험생의 업그레이드 판으로 살고 있는 누나의 친구 서진을 보면서 이제 엄마에게서 벗어나 자신 자신의 모습을 찾으려고 한다. 엄마나 세상이 권유하고 허락하고 때론 강요하는 꿈이 아닌 자신의 꿈을 찾는다. 외부의 기대와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욕망에 충실해지는 법을 발견하고, 자신이 걸어가야 할 길의 첫걸음을 내딛는다.
작가의 말
작가가 이야기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이야기가 작가를 택한다는 말이 있다. 이 글을 쓰면서 나는 처음으로 그 말을 실감했다.
3년 전 가을, 어쩌다가 아침 9시라는 이른 시간에 일어났다. 무료함에 텔레비전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고 있는데, 맛집을 소개하는 프로가 나오고 있었다. 대부분의 맛집 사장님들이 40~50대의 나이 든 분들인데, 특이하게 20대 중반의 젊은 남매가 사장님인 집이 소개되었다. 식당을 운영하던 엄마가 갑작스럽게 돌아가셔서 남매가 식당을 맡아 운영 중이었다. 잠깐 방송을 봤지만, 그 이후로 계속 그 남매와 식당이 떠올랐다. 그들이 잘 지내고 있을까 궁금했고, 진심으로 잘 살고 있기를 바랐다.
남매의 이야기는 오래도록 나를 떠나지 않았고, 재규와 재연이 라는 인물로 나타나 자꾸 날 불렀다. 하지만 시작하기까지 꽤 많은 고민을 했다.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무게에 도저히 쓸 자신이 없었다. 그렇게 미뤄두고 있는데, 2012년 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베를린자유대학에 가게 되었다. 홀로 이국땅에서 4개월을 지내면 매우 외로울 것 같았고, 그곳이라면 재규의 이야기를 쓸 수 있을 듯했다. 외로움과 고독함을 작정하고, 베를린에 도착했다.
베를린에서의 생활은 내가 상상했던 것과 너무나 달랐다. 베를린자유대학에서 만난 학생들과 교수님들 덕분에 나는 조금도 외롭지 않았다. 그곳에서 이야기의 많은 부분이 채워졌다. 한국말을 유독 잘했던 빈센트는 한쪽 귀가 잘 들리지 않았는데, 자기 이름이 빈센트 반 고흐와 같지 않느냐고 웃으며 말했다. 그렇게 빈센트와 반 고흐가 이야기로 들어왔고, 반 고흐를 만나기 위해 6시간 동안 기차를 타고 암스테르담에 다녀왔다. 이은정 교수님은 정성스런 집 밥을 대접해주셨는데, 그 밥이 너무 따뜻해서 집으로 돌아와 엉엉 울었다.
베를린에 머무르지 않았다면, 그곳이 내게 준 따뜻함이 없었다면, 이 이야기를 쓰지 못했거나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을 거다. 그러니까 이 글은 나 혼자 쓴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