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언어의 실험이 구축한 지형도,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인 물음
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 한국 인문학의 새 지형도 「하이브리드 총서」제 5권『이면의 도시』. 이 책의 저자들은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이미지의 재생산이라는 익숙한 작업을 통해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작업을 시도한다. 즉, 우리 일상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텍스트와 이미지 등의 단편적인 정보들을 모아 그래픽, 도표, 지도 등 시각언어로 재현함으로써 도시의 감춰진 이면을 드러낸다. 또한 도시와 개인과의 관계, 도시 공간의 기능 변화, 도시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의 정체 등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물음은 시각언어로 형성된 도시의 지형도를 그리는 작업으로 완성된다.
정진열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예일대학교 그래픽디자인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제로원 디자인센터, MTWTF, TEXT에서 디자이너, 아트디렉터로 근무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부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루에디 바우어> 전, 2010 광주비엔날레 E.I(Event Identity) 작업 등으로 도쿄 타입 디렉터스 클럽(TDC), 아트 디렉터스 클럽(ADC), 아웃풋(OUTPUT) 국제 학생 건축&디자인 공모전에서 수상한 바 있다. 다양한 디자인 활동을 하는 한편 개인의 기억에서 시작된 공간과 커뮤니티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과 리서치를 개인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꾸준히 병행해나가고 있다.
김형재
그래픽 디자이너.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0년대 후반 주문 받은 만큼 인쇄해 배포하는 아티스트진(Zine) 가짜잡지를 기획해 발행하는 창작자로 처음 알려졌으며 (2010, 공간 해밀톤), <아름다운 책 2010>(2011, 서교예술실험센터) 등의 전시를 기획, 참여했다. 시민문화네트워크 티팟, 이음출판사, 문지문화원 사이에서 디자이너로 일했고, 이후 홍은주와 함께 스튜디오를 열어 문화예술, 건축 분야의 출판, 인쇄, 온라인 프로젝트 등에 종사해왔다. 또한 박재현과 시각창작그룹 ‘옵티컬레이스’를 결성해 아르코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열린 여러 전시에 참여했다. 현재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조교수이다.
서문
1. 다시보기 들여다보기 그려보기
2. 서울 밤하늘의 별은 무수히 빛나더라
– 서울 밤하늘의 별은 무수히 빛나더라
– 스피커스 코너
– 그곳의 뚜껑이 열리면 로봇 태권브이가 출동한다
– 프로젝트 a
– 프로젝트 b
– 프로젝트 c
3. 어둠의 강을 건너 하데스의 왕국으로
– 언더월드
– 멸균 상태의 밀폐된 미로
– 롯데왕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프로젝트 a
– 프로젝트 b
– 프로젝트 c
4. 우리가 호출되는 방식
– 1
– 2
– 3
– 프로젝트 a
– 프로젝트 b
– 프로젝트 c
후기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물음, 시각언어의 실험이 구축한 지형도
하이브리드 총서 다섯 번째 책, 정진열ㆍ김형재의 『이면의 도시』는 우리 일상 주변에 명멸하는 수많은 텍스트와 이미지 등의 단편적인 정보들을 모아 그래픽, 도표, 지도 등 시각언어로 재현함으로써 도시의 감춰진 이면을 드러낸다. 도시와 개인과의 관계, 도시 공간의 기능 변화, 도시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의 정체 등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물음은 시각언어로 형성된 도시의 지형도를 그리는 작업으로 완성된다.
우리의 일상에 잠복해 있거나 주위를 떠도는 파편화된 정보들을 하나의 방향성을 설정해 집결시키면 지금까지 보이지 않거나, 보지 못한 것들이 부상한다. 우리는 필요 이상의 것으로 넘치고 변화하는 정보 속에 살고 있고 이 정보를 모두 수용할 수 없다.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사건과 풍경과 기억들이 사실은 불투명하고 단편적인 추억이 만들어낸 도시의 환영일 뿐이거나, 하나의 기호로 단일화된 허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울이란 도시의 이미지는 개인적 경험이 누적되어 구축된다. 아파트 천국, 교통지옥, 솟아나는 건물, 급속한 변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활력과 역동의 공간이라는 대외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거대한 메트로폴리탄 서울에 거주하는 개인이 체화한 서울의 이미지는 전세대란, 길거리 음식, 수많은 등산로, 전쟁 위협에 시달리는 위험한 도시 등 좀 더 개별적이고 세부적이고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시라는 공간과 이러한 개인의 ‘관계맺음’은 기술이 진보함으로써 더 확대되고 자유로워지는 듯 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역설적으로 기술의 진보에 따른 시스템 지배력의 강화로 이어지며 우리의 감각과 경험을 평준화시키고 제한적이고 의존적으로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작게는 우리에게 친절하게 길을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에서부터 크게는 산업 자본주의 정책에 이르기까지 그 폭과 깊이가 다양하지만 우리는 이 시스템의 영향력을 간과하거나 무시하거나 심지어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과 우리의 관계,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과의 전체적인 맥락을 짚어내지 못한다.
도시의 표상 너머에 존재하는 욕망의 시선을 시각화함으로써 도시의 숨겨진 질서를 드러내다
이 책의 저자들은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이미지의 재생산이라는 익숙한 작업을 통해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작업을 시도한다. 한 지역의 CCTV 설치 분포도를 만들어보거나, 한국 지식인들의 이념 경향을 도표로 그려보는 등 구체적 의미를 갖기 어려운 일상적인 정보의 가닥들을 엮고 다양한 맥락에서 살피고 재현하면서 우리의 일상에 암묵적으로 관계하는 것들의 모습을 그려본다. 이처럼 저자들은 일상 속에 너무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견하지 못하는 공간의 틈새를 드러냄으로써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광장이나 지하 공간, 사이버 공간 등 익숙한 공간의 면면을 들여다보면서 우리의 이미지와 감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대기업과 정부의 욕망이 어떻게 우리를 잠재적·무의식적으로 지배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2008년 촛불집회 진행 과정이나 1인 시위가 일어나는 장소 등을 시각화함으로써 공공장소가 어떻게 공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 잠실역 주변 상가 조사 결과나 금융기관 대출 프로세스를 이미지화함으로써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우리를 감독하고 관리하는지 알려준다.
이러한 작업은 우리에게 견고하고 안정적인 일상의 이면에 은폐된 상처와 상실을 일깨워줌으로써 익숙한 현상에 이질감을 부여한다. 우리는 공간과 그 공간을 지배하는 질서 속에서 끊임없이 관리 대상이 되거나 공략 또는 거래 대상이 된다. 집단 안에서 개성들은 사라지고, 산업화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들을 무의식적으로 수용하거나, 자본주의의 욕망에 따라 손쉬운 거래 대상자가 되는 등 자본의 욕망의 시선은 우리의 주위를 유령처럼 떠돈다. 이러한 표상 너머에 존재하는 정체와 그 시선은 분절되고 가공되고 재배열된 시각적 실험들을 통해 우리에게 도시의 시스템과 개인의 관계를 환기시키고, 우리가 관리당하고 거래의 대상이 되는 미미한 존재임을 마주보게 한다. 다시 말해 이런 시도는 우리에게 외부 세계에 열광하고 도취되길 경계하는 벤야민의 산책자처럼 예민한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 곳곳의 구조와 상황을 살피는 눈을 제안함으로써 개인으로서의 의미를 되살리고 자본의 욕망에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