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자음과모음 2023년 봄호 (56호)

계간 자음과모음 2023년 봄호 (56호)

저자1 자음과모음
저자2
출판사 자음과모음
발행일 2023-03-03
분야 한국소설
정가 18,000원

도서구매 사이트

도서구매 사이트

56호를 맞는 계간 『자음과모음』에서는 ‘목소리’를 키워드로 삼아 마지막 게스트 에디터로 돌기민 소설가를 모셨다. 이번 기획에서 돌기민 소설가는 ‘물리적인 현상으로서의 목소리, 타인의 목소리를 어떻게 감각하며 목소리와 관계 맺는지에 관해 묻는다. 목소리는 젠더(혹은 지정성별), 세대(나이), 출신지(사투리), 계급, 건강 상태, 장애 유무, 감정, 목소리를 전하는 대상과의 친밀도, 발성 연습 등 폭넓은 사회적 조건과 의미가 달라붙는 한편, 몸과 떼어놓을 수 없는 신체적인 현상이고 수많은 상호작용의 현장에 함께하지만 말의 내용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게스트 에디터 지면은 각기 다른 목소리에 주목하여 일곱 명의 필자들과 함께하였다. 언젠가 팟캐스트를 하고 싶은 작가 김괜저, 여성‧엄마‧기획자라는 세 가지의 정체성을 지닌 김다은, 감정사회학 연구자 김신식, 하루 종일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듣는 이다울, 소설가 정용준,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활동가 최태규, 구술생애사 작가인 최현숙의 목소리를 듣는다.

 

게스트 에디터돌기민 작가

, 소리에 주목하다

 

계간 『자음과모음』 2023년 봄호(통권 56호)의 게스트 에디터는 소설가이자 예술가로 활동하는 돌기민 작가이다. 그간 다양한 방향으로 문학 바깥으로의 확장을 추구해왔던 게스트 에디터 지면이 이번 호로 마지막을 맞는다. 이번 키워드는 ‘목, 소리’로, 돌기민 소설가는 ‘물리적인 현상으로서의 목소리’와 ‘타인의 목소리를 감각하며 관계 맺기’에 관해 질문한다.

한국 사회에서 목소리는 은유의 기호로 자주 이용되었다. 목소리에 담긴 폭넓은 사회적 조건들(젠더, 세대, 출신지, 계급, 장애 유무, 감정 등)과 대상과의 친밀도, 발성 연습 등으로 교정을 시도하는 방식까지 존재하는 만큼 목소리는 몸과 떼어놓을 수 없는 신체적 현상이며 수많은 상호작용에 이용되지만 그 내용에 비해 형식으로는 주목받지 못한다. 오히려 놀림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잦다. 이번 게스트 에디터 지면에서는 신체적 ‧ 물리적 현상으로의 목소리를 감각하며 목소리와 나, 타자의 목소리와 나, 나의 목소리와 타자와의 관계를 살핀다.

 

이러한 아이러니에 주목하여 터져 나오는 일곱 목소리가 있다. 작가 김괜저는 팟캐스트를 통해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를 듣을 때 느껴지는 생경함과 불편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성‧엄마‧문화기획자인 김다은은 아이의 목소리와 그에 반응하는 사회의 목소리를 다룬다. 감정사회 연구학자 김신식은 한국영화에서 불분명하게 들리는 딕션(diction)과 그것이 과연 문제인가? 라는 주제로 글을 썼다. 작가 이다울은 유아 시절 끊이지 않았던 자신의 울음과 현재 그와 함께하는 고양이의 계속된 울음을 연결한다. 어린 시절 동생을 잃고 실어증을 겪은 소설가 정용준은 두 가지 상실에 관한 경험을,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활동가 최태규는 비인간, 특히 곰의 소리에 집중한다. 활동가였고 이제는 구술생애사 작가인 최현숙은 ‘홈리스들의 말말말’이라는 제목으로 그간 활동을 하며 만났던 홈리스들의 구어들―그들의 삶에서 비롯된 어휘들을 상세하게 펼친다.

 

더불어, 독자들이 필진들의 목소리를 실제로 들어보고 각기 다른 목소리에 담긴 물성을 감각하기 위해 각 원고마다 큐알코드를 삽입하였다. 일곱 필자들의 원고를 눈뿐만 아니라 귀로도 듣는 이중의 경험을 통해 기획의도를 보다 명확하게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신인들의 새로운 시와 중견 시인들의 실험작

김유림, 문지혁, 성혜령, 조예은 소설가의 신작 단편소설 정지돈 소설가의 장편 연재

쓰게 하는 것에 관한 김경흠, 최의택, 황시운의 기록

 

창작란은 주목받는 소설가와 시인들의 작품으로 다채롭게 꾸렸다. 소설은 김유림, 문지혁, 성혜령, 조예은 소설가가, 시는 2022년 신춘문예 당선자인 마윤지, 박다래, 백가경, 오산하, 이영은과 류진, 안태운 시인이 귀한 신작을 보내주었다. 이번 호에서부터 정지돈 소설가의 장편 연재가 시작된다. 기록 지면에는 김경흠, 최의택, 황시운 필자가 ‘쓰게 하는 것’이라는 주제로 글을 썼다. 장애를 가진 분들에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게 하는 동력에 대해 말씀을 청하자는 기획에 답한 “그저 좋아하는 것을, 주어진 상황에 따라 할 뿐이라는 것을 지극히 현실적으로 서술”하는 이 기록들이 편견을 부수기를 기대한다.

 

 

비평적 현장의 대화, ‘크리티카 : 독자, 마니아, 플레이어스토리 경험의 확장

새로운 시작을 위한 ‘2023 시소

 

크리티카에서는 게임 서사와 웹소설을 주제로 하여 웹소설, 게임, 장르소설 등 현저하게 넓어지고 있는 서사에 관해 그 현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정엽 평론가는 비디오게임, 컴퓨터게임에서 주로 다루는 게임서사를 통해 ‘게임이 하나의 독립예술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융희 평론가는 웹소설 속 게임적 요소를 분석하고 그 기원을 찾아 평했으며, 웹소설 편집자이자 기획자인 스텔라는 웹소설로 통칭되는 장르소설의 특징인 ‘대중과 함께 호흡하며 발전하는 문학’에 관해 현시점의 시장을 꿰뚫는다.

2021년부터 시작되었던 ‘시소’ 또한 새로운 형태로의 변화를 꿈꾼다. 이번 기획 좌담은 그간의 활동을 돌아보며 이후를 바라보는 방식으로 꾸려졌다. 김나영, 노태훈, 안서현 편집위원과 전승민, 전청림 평론가가 함께 시소를 톺아보고 성과와 의미, 새로운 시작을 위한 방향성 등에 관해 이야기한다.

 

 

■■■ 게스트 에디터의 말

 

목소리 대체 뭘까. 왜 나를 든든히 떠받치기보다 때때로 내 존재를 오롯이 드러내길 방해하고 존엄을 훼손하는 느낌이 들까. 앙앙대는 목소리로도 똑 부러진 작가 이미지 유지할 수 있나. 내가 프라이어였다면 기왕 기계의 힘 빌리는 김에 듬직하고 맛있는 동굴 보이스로 동료 의사 선생님들 단숨에 사로잡았을 것이다. 사실 다들 일상에서 때와 장소에 따라 거듭 목소리 통제하고 변형하므로 과연 자기 음성의 원본이랄 게 있을까 싶다. 난 목청 어찌 제대로 운용할 수 있는지 매번 헷갈리나, 성우나 배우는 발성 기술 오래 연마한 끝에 장산범이 되기도 할 것이다.

_2023년 봄호 돌기민 작가, 「게스트 에디터의 말」 중에서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