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지부터, 한국 전쟁과 분단, 민주화 운동, 그 후 수차례의 방북을 통한 남북통일에 대한 의지와 열망까지, 분열과 혼돈이 가득했던 굴곡의 역사를 살아오는 동안 문익환은 역사에 등을 돌리거나 외면한 적이 없었다. 늘 변함없이 한결같은 태도로 약자의 편에 섰으며, 민중과 함께 길을 걸어가고자 했다. 역사를 변화시키는데 있어 신념을 굽히지 않고 기꺼이 자기 자신을 희생했던 선구자. 그는 신학자로서 한국의 교회가 해야 할 역할에도 앞장섰다. 성서 공동 번역의 책임위원장을 맡아 당대 최고의 영광인 성서 번역에 참여해 ‘한국인 전체가 읽을 수 있는 번역’을 만들어냈고, 이를 통해 신, 구교를 넘어 사회 통합, 남북의 화합까지도 도모하고자 했다.
금단의 땅을 넘어 통일의 기초가 된 4ㆍ2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했던 문익환 목사의 방북 21주년을 맞아 4월 2일 출간된 이 책은 ‘문익환’이라는 한 인물의 생을 통해 우리 대한민국의 고통의 역사를 오롯이 마주보게 해주고, 그가 어떤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맞서나갔는지를 알게 해준다. 젊은 날 문익환 목사를 가까이서 대면했던 작가만의 특별한 경험을 바탕으로 마치 방대한 한 편의 서사시를 읽는 듯 생생하고 섬세하게, 시대의 아픔과 민중의 고뇌를 재조명한다. 민주화 운동, 남북통일의 문제가 어느덧 옛일처럼 잊혀져가고 있는 요즘, 이 책을 통해 20세기의 발자취를 더듬어갈 수 있으리라 본다. 더 나아가 그 격동의 세월 속에서 그가 남긴 열정과 신념이 더없이 귀중하고 값진 이유 또한 발견해낼 수 있을 것이다.
1959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났다. 1985년 《민중시 2》에 시로, 1996년 《문학동네》에 소설로 등단했다. 1988년 《녹두꽃》을 창간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1980년대 민족문학을 이끌어온 대표적인 시인이자 논객. 지금은 신동엽문학관 관장으로 있다. 시집 『가끔씩 쉬었다 간다는 것』 『빗방울에 관한 추억』, 가끔 이렇게 허깨비를 본다』,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시』, 평론집 『반응할 것인가 저항할 것인가』 외에 『소태산 평전』 『흩어진 중심-한국문학에서 주목할 장면들』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등이 있다.
때릴 줄 모르는 아이
광야에서
끝이 없는 길
침묵과 고독 속에서
히브리에서 한국으로
두드려라, 부서질 것이다
꿈을 비는 마음
계엄령 속의 겨울
누가 그를 사라져 가는 별이라 하는가
저녁노을
저물지 않는 생애
에필로그작가의 말
문익환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