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덜먼이 들려주는 뇌 과학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신의 뇌를 알게 됨으로써 비로소 자기 자신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마음의 일생’이라 할 수 있는 ‘희·노·애·락’을 우리가 어디서 왜 느끼는지, 마음이 왜 사람마다 제 각각인지 등의 궁금증도 속 시원하게 풀릴 것이다.
이흥우
저자 : 이흥우
저자 이흥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 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생물 교육학을 전공하였다. 현재 서울 과학고등학교 교사로서 과학 영재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제7차 교육 과정의 ≪고등학교 생물 I, II 교과서≫ 외에 ≪텍스트 생물 I, II≫ 등 다수의 참고서가 있다.
첫 번째 수업 – 뇌가 왜 필요하지?
두 번째 수업 – 뇌, 어떻게 생겼지?
세 번째 수업 – 사람답게 하는 뇌, 대뇌
네 번째 수업 – 마음과 감정은 어디에?
다섯 번째 수업 – 서로 다른 마음
여섯 번째 수업 – 기억하는 뇌
일곱 번째 수업 – 컴퓨터와는 다른 뇌
마지막 수업 – 뇌를 건강하게
에덜먼과 함께 마음의 장소를 찾아 떠나보자!
희로애락의 감정과 마음의 장소를 찾아 떠나는 뇌 과학!
머나먼 우주만큼이나 신비로운 1,000억 네트워크의 세계, 뇌! 《에덜먼이 들려주는 뇌 과학 이야기》는 뇌 기반 인식론의 최신 패러다임인 ‘신경 다윈주의’에 입각하여 뇌의 구조에서부터 감정, 공포, 두려움, 기억 그리고 마음의 병에 이르기까지 우리 뇌에서 펼쳐지는 모든 일들을 설명해 준다. 이어 사람답게 하는 뇌, 마음이 있는 자리와 감정이 생기는 장소, 저마다 다른 마음, 기억하는 뇌, 끝으로 뇌의 건강에 이르기까지 그의 해박한 지식을 통해 뇌의 실체가 술술 풀린다!
특히 어린 시절에 뇌가 자라면서 신경 세포 뉴런이 선택을 통해 살아남고, 이것이 일생 동안 마음과 행동을 지배한다는 사실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무엇보다도 건강해야 하는 뇌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또한 각 수업 시간마다 소개한 교과 연계는 학생들이 뇌 과학에 관한 전반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에덜먼이 들려주는 뇌 과학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신의 뇌를 알게 됨으로써 비로소 자기 자신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마음의 일생’이라 할 수 있는 ‘희·노·애·락’을 우리가 어디서 왜 느끼는지, 마음이 왜 사람마다 제 각각인지 등의 궁금증도 속 시원하게 풀릴 것이다.
― 뇌의 구조에서부터 마음과 감정의 생성 메커니즘에 이르기까지 최신 뇌 과학을 통해 해설하여, 현대 뇌 과학의 거대한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 개정된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각 수업마다 연관되는 교과연계표를 삽입하였다. 즉, 교과 공부에도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 각 수업마다 ‘만화로 본문 읽기’ 코너를 두어 각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한 번 더 쉽게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용어는 ‘과학자의 비밀노트’ 코너에서 보충 설명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 ‘과학자 소개 ? 과학 연대표 ? 체크, 핵심 내용 ? 이슈, 현대 과학 ? 찾아보기’로 구성된 부록을 제공하여 독자에게 본문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추천평]
신비로운 뇌의 세계로 진입하기 위한 뇌 과학 입문서!
이 책은 인간의 뇌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인체가 느끼는 다양한 감각뿐만 아니라 감정과 마음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뇌와 인체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내고 있다. 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뇌에 관한 모든 비밀이 풀리지 않았을 정도로 뇌의 영역은 신비롭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동물과는 다른 인간의 뇌의 경이로움에 놀랄 것이다.
당곡고등학교 과학 교사, 이선길
이제 생명과학의 흐름은 유전공학과 더불어 뇌 과학의 시대로 접어든 듯하다. 뇌 과학은 신비로운 뇌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뇌에 관한 지식을 갖는 것은 미래 과학을 선도할 청소년들에게는 필수적인 일일 것이다. 이 책은 청소년의 뇌 과학 입문서로서 아주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마음이나 감정과 뇌의 관련성에 대한 부분은 청소년들이 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생물 교사, 이은학